PCA와 FA는 모두 다차원 데이터를 축소하는 기법이지만 목적과 수학적 기법에 차이가 있다. 1. 목적주성분분석(PCA)- 데이터의 분산을 최대한 보존하며 차원을 축소하는 것이 목표- 데이터의 분산을 설명하는 주성분(새로운 축)을 찾고, 데이터를 그 축에 투영하여 차원을 줄인다.- 주성분은 변수의 선형조합이므로 해석이 어렵다. 머신러닝에서 노이즈 제거 및 성능 개선에 주로 사용된다. 요인분석(FA)- 관측된 변수들 간의 숨은 공통된 요인을 찾는 것이 목표- 데이터의 구조를 이해하고 여러 변수들이 소수의 잠재 요인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.- 요인은 특정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. 마케팅, 경제학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. 2. 수학적 기법 주성분분석(PCA) ① 데이터 정규화각 변수의 단위..